지원서 작성하기B2B 부실채권 플랫폼 사업개발 리드
지원자 정보
기본 정보필수
프로필 사진필수
profile image

JPG, JPEG, PNG / 300×400px

성별필수
생년월일필수
주소필수
학력사항필수
경력사항필수
자격증
병역사항필수
장애사항
보훈여부
제출 서류
이력서
이곳에 파일을 올려주세요
* PDF 형식으로 올려주세요.
자기소개서(선택)
이곳에 파일을 올려주세요
* PDF 형식으로 올려주세요.
추가 제출 서류 1 (선택)
이곳에 파일을 올려주세요
추가 제출 서류 2 (선택)
이곳에 파일을 올려주세요
추가 제출 서류 3 (선택)
이곳에 파일을 올려주세요
사전 질문
1. 고객사 서비스 프로세스 맞춤 설계필수
아래 질문들은 본인의 경험이나 상황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당부분은 경험이 없으실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설문과정을 통해 사고 방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새로운 일에 도전하실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하기 위함입니다. 최대한 성심성의껏 작성하시어 저희와의 핏과 포지션을 정하면 좋겠습니다. 1~4번 질문은 B2B 고객사 서비스 기획 및 운영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1-1. 고객사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맞춤 설계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기업 또는 고객을 대상으로 했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1-2. 해당 경험이 있다면, 어떤 접근 방식이나 도구를 활용해 프로세스를 설계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예: 인터뷰, 프로세스 매핑, 워크숍 등) 1-3. 이와 관련된 산출물(프로세스맵, 설계안, 프레임워크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 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유사하게 복잡한 운영 구조를 분석하고 개선한 사례가 있다면 당시 사용한 접근 방식, 방법론, 도구를 함께 작성해 주시고, 관련 산출물이나 문서, 시각자료 등이 있다면 링크로 함께 제출해 주세요.
0 / 10,000
2. 고객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니즈 정의필수
2-1. 고객사의 업무 흐름을 분석하고 주요 니즈를 정의했던 실무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산업군의 어떤 고객을 대상으로 했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2-2. 당시 고객사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방식(예: 인터뷰, VOC 분석, 현장 관찰 등)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정의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2-3. 관련된 산출물(예: 문제 정의서, VOC 리포트, 분석 요약 자료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2-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고객과의 인터뷰나 리서치를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개선 제안을 했던 유사 경험이 있다면, 해당 사례와 함께 사용한 방법론(예: 페르소나, 여정맵, 핵심 인사이트 도출법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시고, 관련 문서, 발표자료, 인터뷰 노트 등이 있다면 링크로 제출해주세요.
0 / 10,000
3.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 및 기능 요구 도출필수
3-1. 사용자 행동 데이터나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 기획을 하거나 기능 개선안을 도출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서비스였는지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3-2. 해당 경험에서 어떤 데이터(예: 로그, DB, 설문 등)를 어떤 방식으로 분석했는지, 그리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기획 의사결정을 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3-3. 당시 작성하신 기능 제안서, 분석 리포트, 시각화 자료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3-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영이나 정책을 개선한 유사 경험이 있다면 그 사례를 설명해주시고, 그때 사용한 분석 방식(예: 피벗, SQL, MongoDB 등)이나 프레임워크(예: AARRR, KPI 분석 등)를 기술해주시고 관련된 보고서, 회의자료, 정리된 기획안이 있다면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0 / 10,000
4. 서비스 고도화 전략 수립필수
4-1. 기존 서비스를 고도화하거나 개선 전략을 수립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서비스명과 어떤 개선 방향이었는지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4-2. 고도화 전략 수립 과정에서 어떤 근거 자료(예: NPS, 리텐션, 사용자 피드백 등)를 활용했으며, 전략은 어떤 기준에 따라 수립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4-3. 해당 경험과 관련해 작성하신 전략 문서, 로드맵, 개선안 자료가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4-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기존 기능을 점검하고 전략적 개선을 제안한 유사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당시 사용한 분석 틀(예: 우선순위 매트릭스, ICE 스코어 등)이나 어떤 판단 근거를 사용했는지 설명과 함께, 관련 전략 제안서, 회의록, 기획 문서가 있다면 링크로 제출해주세요.
0 / 10,000
5. 연체채권 보유 산업군 대상 서비스 제안 (도시가스, 렌탈, 통신, 금융 등)필수
5~7번 질문은 B2B 세일즈 & 사업개발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5-1. 도시가스, 렌탈, 통신, 금융 등 다양한 업종의 연체채권 보유 기관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안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대상 업종과 주요 고객군을 함께 작성해주세요. 5-2. 해당 제안 경험이 있다면, 고객사의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파악하고 제안을 구성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예: 니즈 기반 설계, 산업별 차별 포인트 등) 5-3. 실제 사용하신 세일즈덱, 제안서, 도식화 자료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5-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타 산업군을 대상으로 B2B 제안을 수행했던 유사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제안을 구성할 때 사용한 구조나 전략적 접근 방식, 비교 포인트가 있었다면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제안서, 덱, 브로슈어 등이 있다면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0 / 10,000
6. 고객사의 채권 포트폴리오 분석 및 솔루션 제공필수
6-1. 고객사의 채권 구성(금액대, 유형, 상태 등)을 분석하고 맞춤형 회수 솔루션이나 전략을 제안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고객이었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6-2. 해당 경험에서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회수율 향상을 위한 전략은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6-3. 관련 분석표, 전략서, 솔루션 설명서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6-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채권이 아닌 특정 고객군의 자산이나 포트폴리오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한 유사 경험이 있다면 그 사례를 작성해주시고, 분석과 제안 과정에서 사용한 툴(예: Excel, SQL 등)과 적용한 사고방식(예: 세분화, 분류, 위험 스코어링 등)을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문서, 분석 요약본, 보고서가 있다면 링크로 제출해주세요.
0 / 10,000
7. 신규 사업 기회 발굴 및 BM 개발필수
7-1.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이를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BM)로 설계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아이템이었는지 간략히 작성해주세요. 7-2. 해당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할 때 어떤 논리 구조(BM Canvas, 수익/비용 구조 등)를 사용하였으며, 시장성과 실행 가능성은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7-3. 그 결과로 만든 사업 기획서, BM Canvas, MVP 기획안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7-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내부 혹은 외부 제약을 고려하여 새로운 기회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는 데 기여한 유사 사례가 있다면 작성해주시고, 해당 과정에서 사용한 프레임워크나 구조적 접근 방법을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기획안, 요약본, 발표자료 등이 있다면 링크로 제출해주세요.
0 / 10,000
8. 사업 타당성 분석 및 재무 모델링필수
8~10번 질문은 사업 전략 및 실행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8-1. 새로운 사업 기획 또는 제안을 위해 사업 타당성 분석이나 재무 모델링을 수행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사업이었는지 간략히 작성해주세요. 8-2. 해당 분석에서 어떤 모델링 방식(예: BEP 분석, 손익 추정, ROI 계산 등)을 사용하였고, 주요 가정값이나 시나리오는 어떻게 설정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8-3. 분석에 사용하신 엑셀 시트, 재무 모델, 계산 구조 요약본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8-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유사하게 경제성 평가나 실행 타당성 분석을 수행한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당시 사용한 논리 구조나 숫자 기반 프레임워크가 있었다면 함께 기술해주세요. 관련 수익 모델표, 타당성 보고서 등이 있다면 링크로 제출해주세요.
0 / 10,000
9. 시장 및 경쟁사 동향 분석필수
9-1. 시장 환경 분석이나 경쟁사 동향 분석을 직접 수행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산업 또는 기업을 분석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9-2. 해당 분석에서 어떤 프레임워크(예: 3C, 5 Forces, SWOT 등)나 리서치 방법론(정성/정량 조사 등)을 활용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9-3. 관련 리포트, 경쟁사 비교표, 슬라이드 요약 자료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9-4. 동일한 경험이 없더라도, 시장 정보나 산업 트렌드를 기반으로 내부 전략을 제안했던 유사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당시 분석에 활용한 자료원(예: 공공 DB, 산업 보고서, 인터뷰 등)과 비교 분석에 사용한 구조를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인사이트 요약본, 발표자료, 정리 문서 등이 있다면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0 / 10,000
10. 플랫폼 기능 개선 및 신규 서비스 제안필수
10-1. 디지털 플랫폼 또는 내부 시스템의 기능 개선이나 신규 기능 제안을 직접 기획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플랫폼이었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10-2. 해당 기획에서 사용자 요구를 어떤 방식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능 요구사항 정의서로 어떻게 정리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예: VOC 기반, 협업툴 활용, 백로그 설계 등) 10-3. 기능 명세서, 개선 기획안, 요구사항 정의 문서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0-4. 동일한 업무 경험은 없더라도, 특정 프로세스나 시스템에 대해 기능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실제 반영된 유사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당시 어떤 기준(예: 우선순위, 사용성, 영향도 등)으로 개선 아이디어를 구조화했는지 설명해주세요. 관련 회의록, 요청서, 기획안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함께 제출해주세요.
0 / 10,000
11. 고객 맞춤형 세일즈덱 / 제안서 작성필수
11~12번 질문은 B2B 고객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11-1. B2B 고객을 대상으로 세일즈덱이나 사업 제안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산업 또는 고객사였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11-2. 해당 문서를 작성할 때 어떤 구조(예: 문제 정의 → 해결책 → 수익모델 등)로 구성하셨고, 어떤 시각화 도구(예: PowerPoint, Figma, Keynote 등)를 사용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11-3. 실제 제출했던 세일즈덱, 제안서, 발표용 문서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1-4. 동일한 경험이 없다면, 유사하게 고객을 설득하거나 설명을 위해 맞춤형 자료를 제작한 사례가 있다면 작성해주시고, 해당 경험에서 사용한 자료 구성 방식이나 메시지 전달 전략이 있었다면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문서, 링크, 스크린샷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로 제출해주세요.
0 / 10,000
12. 프레젠테이션 및 전략적 커뮤니케이션필수
12-1. 고객 또는 외부 이해관계자 앞에서 전략적 제안을 발표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발표 주제와 대상자(예: 임원, 실무진 등)를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12-2. 해당 발표를 준비할 때 어떤 구성 전략을 사용하셨고, 실연(데모, 시연 포함)을 위해 어떤 도구나 시나리오를 준비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12-3. 사용하신 발표자료, 스크립트, 시연 구성안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2-4. 동일한 경험이 없더라도, 유사하게 전략적 메시지를 구두 또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전달한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발표나 설명을 준비하며 사용한 논리 전개 구조, 시각화 방법, 전달 방식이 있었다면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영상, 발표자료, 요약문 등이 있다면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0 / 10,000
13. AI 툴을 실제 업무에서 활용해본 경험필수
13-15번 질문은 멀티플레이형 사업개발/운영기획 포지션에서는 AI툴 활용 능력이 핵심 경쟁력이 될 수 있으므로 AI 도구 활용 경험에 대한 질문입니다. 13-1. 업무 중 AI 기반 도구(GPT, Claude, Notion AI, ChatPDF, Midjourney, Perplexity, Excel Copilot 등)를 활용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도구를 활용하셨는지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13-2. 해당 도구를 반복적 문서 작성, 요약, 브레인스토밍, 자동화 등 어떤 업무에 주로 활용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13-3. 활용 경험이 있다면, 어떤 방식(예: 프롬프트 구성, 워크플로우 연결 등)으로 사용하셨는지와 함께, 자동화된 문서, AI가 생성한 제안안, 스크립트 등의 결과물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 또는 샘플 캡처를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3-4. 동일한 경험은 없더라도, AI 도구의 사용 사례를 학습하거나 간단히 체험해본 범위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추후 채권, 운영, 제안서, 고객 대응 등 업무에서 AI를 활용한다면 어떤 부분에 우선 적용하고 싶은지도 함께 적어주세요.
0 / 10,000
14. 아래 도구 중 사용 경험이 있는 것을 모두 선택해주세요.필수
15. AI 도구 중 어떤 도구에 가장 익숙하며, 어떤 유형의 업무에 가장 많이 사용하셨나요?필수
0 / 10,000
16.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확장 역량필수
16-18번 질문은 부실채권(NPL) 관련 빅데이터(채무자, 계약, 회수 데이터 등)’를 활용한 핀테크/AI 기반 신규 비즈니스 기획 및 전개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16-1. 데이터(예: 금융, CRM, 유저 행동 로그 등)를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BM)을 설계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데이터였고, 어떤 BM을 설계하셨는지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16-2. 해당 데이터의 어떤 특성을 활용하였으며, 그 데이터가 비즈니스적으로 어떤 인사이트를 제공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16-3. 해당 경험에서 작성하신 BM Canvas, 수익 모델표, 시장 분석 문서 등 산출물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6-4. 동일한 경험은 없더라도, 유사하게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전략을 설계했던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당시 사용한 데이터 구조나 분석 프레임워크가 있었다면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기획안, 대시보드, 발표자료 링크가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0 / 10,000
17. 신용 기반 핀테크/리스크 데이터 활용 감각필수
17-1. 신용, 부실, 회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등급화한 시스템을 다뤄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시스템이었는지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17-2. 예측 모델, 스코어링, 클러스터링 등 데이터 기반의 리스크 분석을 실무에 적용한 경험이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17-3. 해당 모델링 기획서, 설계도, 예측 보고서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7-4. 동일한 경험은 없더라도, 유사하게 리스크, 반응률, 전환율 등 주요 지표를 근거로 사업 방향을 기획한 경험이 있다면 작성해주시고, 당시 사용한 지표 구성 방식, 시뮬레이션 또는 분석 툴이 있었다면 함께 설명해주세요. 관련 산출물, 수식, 보고서 링크가 있다면 제출해주세요.
0 / 10,000
18. AI/모델링/자동화 기술기획 역량필수
18-1. AI 기반 추천 시스템, 사용자 자동 분류, 시나리오 자동 설계 등과 같은 데이터 기반 운영 자동화 또는 상품 자동화를 기획하거나 요구사항을 정의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었다면 어떤 사례였는지 작성해주세요. 18-2. 기술팀과 협업하여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 모델 적용, API 기획 등 기술적 방향을 설계해본 경험이 있다면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18-3. 당시 작성한 기획 문서, 자동화 흐름도, 기능 정의서 등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링크 또는 ‘없음’으로 응답) 18-4. 동일한 경험이 없더라도, 유사하게 기술 구조를 고려해 운영 개선이나 제품 방향을 설계한 사례가 있다면 그 내용을 작성해주시고, 어떤 구조(예: 데이터 수집 → 시나리오 적용 → 리액션 자동화 등)를 상상하거나 기획하셨는지 설명해주세요. 관련 워크플로우 도식, 백로그 정리표, 회의록 등이 있다면 링크로 공유해주세요.
0 / 10,000
19. 최종질문 필수
19-1. 이처럼 기획, 개발, 운영까지 모두 직접 책임지는 PO형 멀티플레이어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9-2. 과거 경험과 비교했을 때, 이러한 책임 구조에서 가장 다른 점은 무엇이며, 어떤 부분이 가장 도전적이거나 기대되시나요? 19-3. 위와 같은 역할 구조에서 본인이 가장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과, 반대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은 무엇인가요?
0 / 10,000
지원을 위해 다음 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VWS.AI (이하 “회사”라 함)은(는) “Greeting” 을 통한 채용 절차 진행을 위하여 귀하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필수항목

•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2. 개인정보처리의 목적

• 채용 관련 안내, 공지사항 전달, 채용 및 웹사이트 이용 관련 연락, 채용 적합성 판단 및 서류심사/면접 등의 근거 자료, 인재 DB 활용 등


3. 보유기간

• 접수 지원 후 3년간, 단 정보주체의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파기

※ 회사는 본인이 작성/제출한 정보에 한하여 정보를 수집합니다. 채용서비스의 특성상 민감한 정보 등이 수집될 수 있으니 작성/제출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귀하는 개인 정보 수집ㆍ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기업 측으로의 지원자 정보 전달을 진행할 수 없어 본건 서비스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VWS.AI (이하 “회사”라 함)은(는) “Greeting” 을 통한 채용 절차 진행을 위하여 귀하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선택항목

• 생년월일, 주소, 자기소개서, 이력서, 학력사항, 사진, 동영상, 자격사항, 경력사항, 포트폴리오, 경력기술서, 지원 분야, 희망연봉, 직전 연봉, 추천인, 지원 경로, 기타 본인이 직접 입력하거나 첨부파일을 통하여 업로드 하는 비정형적 정보 중 개인식별 가능성이 있는 정보
(해당 내용에 대하여 각 항목별 동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료의 처리가 불가능하므로, 직접 기재한 사항에 대하여는 선택적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신 것으로 봅니다.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시는 경우 해당 내용을 삭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개인정보처리의 목적

• 채용 관련 안내, 공지사항 전달, 채용 및 웹사이트 이용 관련 연락, 채용 적합성 판단 및 서류심사/면접 등의 근거 자료, 인재 DB 활용 등


3. 보유기간

• 접수 지원 후 3년간, 단 정보주체의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파기

※ 회사는 본인이 작성/제출한 정보에 한하여 정보를 수집합니다. 채용서비스의 특성상 민감한 정보 등이 수집될 수 있으니 작성/제출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귀하는 개인 정보 수집ㆍ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기업 측으로의 지원자 정보 전달을 진행할 수 없어 본건 서비스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는 채용 절차 진행을 위하여 귀하의 민감 정보를 처리(수집,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3조 및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하여 별도 동의가 필요합니다.


1. 수집하는 민감정보 항목

• [필수항목]

장애사항,보훈여부


2. 민감정보처리의 목적

채용 적합성 판단 및 서류심사/면접 등의 근거 자료, 인재 DB 활용 등


3. 보유기간

접수 지원 후 3년간, 단 정보주체의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파기


※ 회사는 본인이 작성/제출한 정보에 한하여 정보를 수집합니다. 채용서비스의 특성상 민감한 정보 등이 수집될 수 있으니 작성/제출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귀하는 개인 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기업 측으로의 지원자 정보 전달을 진행할 수 없어 본건 서비스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서 제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여기로 문의해 주세요!채용 관리 솔루션 그리팅(Greeting)의 고객센터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