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소개
"가슴뛰는 이런 스타트업은 너무 오랜만이다. 토스를 처음 봤을 때의 느낌을 받았다." - 유난한 도전에 나온 전 토스 코파운더
"내가 초기 스타트업 많이 교류해봤지만, 여기 만큼 제대로된 소리를 하는 스타트업을 보지 못했다" - 전 에그테크 유니콘 코파운더 CTO
"우리 CEO와 정확히 같은 형태로 비젼, 전략, 실력을 가지고 운영하는 초기 회사는 유일했다" - IP분야 유니콘 CPO
<요약>
- 공신력, 투자가치 유니콘을 제일 많이 보낸 시리즈 A 투자자(VC) 참여
- 최고의 인재밀도 - 서울대 동문위주의 개발자, 기획자, 4급 공무원 서기관, 연구소, 변호사, 의사 등 멤버들
- 시장성, 독과점 - 시장에서 IT, AI 침투가 가장 늦으면서 어려운 인더스트리이자, 유일한 플레이어로 독과점이 가능한 프로덕트
- 시장성 - 엄청나게 큰 시장이지만 정보비대칭성이 심해서 우리 프로덕트로 스케일업이 빠르고 폭발적으로 가능한 시장
- 돈이 되는 비지니스 - 매출과 영업이익이 나오는 돈을 버는 비지니스
- 상품성 - b2c roas가 2000%나 육박
- 검증됨 - 서비스 제공중인 b2b 대기업
-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보통의 평범한 스타트업이 아닙니다. 현재 초기 밸류 약 300억원에서 내년 탑티어 VC, PE로부터 3000억밸류 이상의 평가를 받고 라운딩을 돌 예정입니다.
❖ 주요 업무
✅ 신규 서비스 런칭 캠페인 기획 및 실행
- 신규 앱/웹 서비스의 마케팅 전략 수립 및 IMC 실행
- 마케팅 포지셔닝, 메시지 개발, 디지털 캠페인 운영
- ATL, 디지털 기반 주요 채널 믹스 수립
✅ 브랜드 캠페인 및 크리에이티브 디렉션
- 브랜드 필름, SNS 영상, 블로그 컨텐츠 등 크리에이티브 기획
- 주요 커뮤니케이션 채널 기반 마케팅 카피라이팅
- 제작 에이전시 및 외주 파트너사와의 협업 리딩
- 채널별 컨텐츠 소재 기획 및 가이드 작성
✅ Owned 마케팅 채널 운영 및 컨텐츠 전략 수립
- 자사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Owned 채널 기획 및 운영
- 브랜드 키 메세지를 반영한 채널별 정기 컨텐츠 캘린더 설계
- 각 컨텐츠 목적별 KPI 수립 및 관리
- 유입 이후 전환까지 마케팅 퍼널 설계 및 단계별 성과 측정
✅ 퍼포먼스 마케팅 집행 및 분석
- Google, Meta, 네이버, 카카오 등 매체 전략 수립 및 운영 관리
- 주요 디지털 채널의 검색/디스플레이 광고 기획 및 집행
- KPI 기반 예산 운영 및 디지털 채널 성과 분석
- A/B 테스트 및 크리에이티브 성과 기반 개선 주도
✅ 고객 데이터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
- Google Analytics, Looker Studio 등 툴 기반 고객 행동 분석
- 캠페인 유입 품질, 전환율, LTV 기반 리포팅
- 유저 유입 경로, 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핵심 전환 지표 도출 및 개선
- 퍼널 단계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
❖ 자격 조건
- 브랜드 캠페인 및 디지털 마케팅 기획 및 운영 경험 3년 이상
- 신규 앱/웹 서비스 론칭 마케팅 실무 경험
- 블로그, SNS 등 Owned 채널 컨텐츠 기획 및 운영 경험
- 크리에이티브/광고/디지털 에이전시와 협업 주도 경험
- ATL 포함 전방위적 캠페인을 통합적으로 기획해 본 IMC 실무자
❖ 우대 사항
- 브랜드 캠페인 영상/필름 디렉션 경험
- 앱/웹 기반 신규 서비스 초기 런칭 멤버 참여 경험
- IMC 전략 기획, 컨설팅, 광고 에이전시 근무 경험
- 금융/법률/병원 등 유사 업종 마케팅 유경험자
- Notion, Slack, Figma 등 협업툴 능숙자
❖ 이런 분을 찾습니다
- 크리에이티브와 퍼포먼스를 연결할 줄 아는 하이브리드 마케터
- 제로투원(0 to 1) 단계에서 직접 설계하고 실행해 본 실무형 기획자
- 캠페인 설계부터 성과 분석까지, 기획과 실행에 두루 능한 분
- 다양한 채널과 메시지를 일관되게 통합할 수 있는 IMC 감각 보유자
- 숫자와 감성, 콘텐츠와 전환, 그 사이의 균형을 잡을 줄 아는 분
-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와 도구를 활용해 끊임없이 실험하고 개선하는 분
❖ 지원 방법
[1] 지원서 작성
→ 본 JD에 기재된 업무 항목 중, 본인의 업무 강점 및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일지 중심으로 작성해주세요.
[2] 포트폴리오
→ 실제 프로젝트 사례, 리포트, 컨텐츠 결과물 등 연관된 작업물이 있다면 함께 제출해주세요.
[3] 구체적 기술 또는 산출물 설명
→ 업무의 단순한 나열보다는,구체적인 업무 산출물 및 업무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작성해주세요.